내가 신는 신발은 얼마에 만들어지는가
맨날 원가 타령하는 것이 우리나라의 자랑스러운 전통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미국에서도 비슷한 바람이 불고 있었나보다. 원문의 스크롤이 상당히 길어보이고 영어라서 거북함을 느낄 수도 있겠지만 그냥 깔끔하게 정리된 인포그래픽만 쓱쓱 훑어봐도 줄거리는 파악할 수 있다. 실제로 읽어보면 더 재밌는 내용이 많기도 하고. 여튼 그것마저 보기 귀찮아하는 님들을 위해 정리.
-
아주 완벽하지는 않지만 대략 95%의 정확도로 생산원가를 추정해봤을 때 소매가 $350에 팔리는 이지 부스트 750은 단돈 $76으로 만들 수 있다. 이 지점에서 범인(凡人)은 "ㅅㅂ 350 빼기 76… (암산에 조금 시간을 쓰다가 퉁 치고는) 거의 신발 하나 팔아먹으면서 300달러를 해쳐먹냐 도둑놈새끼들!"이라는 반응을 보이는데 이 말은 “니 연봉 4천이면 5년 모아서 2억 만들 수 있겠네!” 정도의 헛소리.
-
내가 좋아하는 아디다스로 예를 들면, 소매가 $100의 신발을 판다고 했을 때 그 구성은 다음과 같다. $50: 소매 마진, $21: 생산단가, $5: 운송, 보험, 무역관련 세금, $8: 마케팅, $13: 기타 지출, $1: 기타 세금, **$2: 아디다스의 마진**. 님이 $100에 사는 신발 하나 팔면 아디다스는 2% 순수익을 올린다. 구성비는 브랜드마다 조금 다르지만 대동소이하다.
이 결론에 뒤따르는 범인들의 FAQ를 짧게 정리해본다.
Q: 소매 마진이 50%면 소매상들이 떼돈을 버는 거냐?
A: 온갖 운영비와 세금, 할인과 프로모션 등을 합치면 얘네도 쪼들리긴 마찬가지다.
Q: 브랜드가 직영점을 운영하면 떼돈 버는 거 아니냐?
A: 미국에서는 브랜드 직영점 비율이 무척 적은데다가 베스트 케이스 시나리오로로 따져봐도 10%의 추가 이익이 있는 정도다.
Q: 염가판매(bargain retailer)하는 곳은 그럼 뭘로 먹고 사냐?
A: (이건 솔직히 좀 당연한 이야기이긴한데) 매장의 지리적 위치, 크기, 직원의 수, 내부 인테리어 비용 등 여러 운영비를 아끼고 아낀 결과물. 흥미로운 것은 대표적인 염가판매 몰인 T.J.Maxx의 브랜드 본사보다 높은 수익률을 올렸다는 것이다. 비용을 쥐어짜낼 수 있는 구석을 모조리 쪽쪽 짜내는 것이 기술이요 돈이라는 말.
Q: 운동 선수나 셀렙들에게 퍼주는 돈 아끼면 되는 거 아니냐?
A: 다시 예의 소매가 $100짜리 신발로 돌아가면, 프로 팀, 선수, 셀렙, 온갖 것들을 다 합쳐도 한 켤레당 $1.5만큼이 그들에게 돌아간다고.
끝으로 나는 업계인도 아니고 패션, 유통, 생산에 아는 바도 없으며 미국의 신발 도소매 시장이 어떻게 형성되어 있는지, 우리나라의 경우는 어떤지, 내가 대충 번역한 용어가 맞는 용어인지 실제로 사용되는 용어인지 아닌지 아는 것이 1도 없는 사람임을 밝힌다. 그니까 내 포스트에 잘못된 게 있으면 미안하긴 하지만 그 이상 내가 어떻게 해줄 수 있는 것이 없다.